Profile image
浏览次数

现在:
最近一小时:
最近24小时:
浏览总量:
中国游客青睐化妆品 改变韩国商圈地图
Wednesday, August 21, 2013 14:42
% of readers think this story is Fact. Add your two cents.
0


▲随着越来越多的中国游客涌向韩国化妆品店,首尔的商圈结构开始发生变化。原来都是服装店、美容院的梨花女子大学前商街逐渐被化妆品店占领。爱丽小屋、兰芝、THE
SAEM、悦诗风吟、自然乐园等品牌应有尽有。


年8月初,首尔乐天百货商店总店9层的免税店被中国游客挤得水泄不通。其中中国游客最多的地方便是韩国化妆品卖场。雪花秀、兰芝专柜周围挤满了人。由于中
国游客大幅增加,乐天百货商店总店在9层两处安排了中文翻译,各卖场的商品宣传单也以中文为主。宣传单上的日文非常小,英文干脆没有。

 
从去年年末开始在乐天百货商店总店工作的中文翻译金小姐说:“每隔5分钟就会有中国游客过来咨询。最多的问题就是如何前往韩国化妆品卖场。很多人要找雪花
秀、兰芝、谜尚、菲诗小铺。”乐天百货商店蚕室店去年下半年将原来只在10层的免税店卖场扩充为9层和10层,9层被打造成化妆品专门免税店。

 
来到韩国的中国游客不断增加。据韩国文化观光研究院发布的资料显示,今年6月一个月内来到韩国的中国人达39.9031万人次。6月份来韩的外国游客共达
105.9082万人次。这意味着来韩外国游客中近一半是中国人。“明洞和光化门便利店的打工人员必须会中文”已经是众所周知的事实。

 
中国游客正在改变首尔的商圈结构。中国人选择韩国游时最重视的就是“购物”。韩国文化观光研究院发布的《中国人来韩旅游现状调查报告》显示,50.4%的
人回答说选择韩国游时最重视的就是“购物”,所占比率最高,其次是“自然风景”(33.1%)、“有底蕴的文化”(23.0%)、“很近的距离”
(18.0%)。
 
中国人出手阔绰让免税店喜出望外。虽然今年上半年整个零售业界都面临不景气局面,但免税店却刷新了历史最高销售纪录。乐天免税店8月5日初步统计的上半年
销售额为1.6万亿韩元,创下历史最高纪录。这一数字比去年同期(1.5万亿韩元)提高了6.67%。乐天免税店的中国人消费金额同比提高80%。据分
析,虽然日元贬值和韩日关系恶化导致日本游客锐减,但中国游客填补了空缺,令销量额大幅增加。乐天百货商店的一位相关人士表示:“中国人是大客户。如果说
中国游客的人均消费额为100万韩元,日本人就是50万韩元。”
 
乐天JTB旅行社负责华语地区业务的理事宋文杨(音)表示:“很多中国人成箱购买韩国化妆品。很多人买来自己用,但更多的人是买来送礼。”他还对韩国化妆
品受欢迎的原因解释说:“韩国化妆品很有名气,再加上中国允许人民赴海外旅游的时间不长,出国旅游时给亲朋好友带礼物成为一种文化。化妆品体积小,价格也
相对低廉,是送礼的首选。”
 
 
不止是免税店,首尔新村梨花女子大学前和明洞等购物名地也开始转变为以化妆品店为主的商圈。过去因服装店多而被誉为代表性时尚街的“梨花女子大学前”,现
在化妆品店最多。去年之前还是服装店比化妆品店多,但今年6月以后情况发生逆转。梨花女子大学前现在有30家国内外化妆品零售店。
 
服装店内也是清一色的外国游客。20多分钟时间里来到该店的顾客中有80%是外国人。其中中国人最多,其次是日本人。服装店店员李某说:“梨花女子大学前
成为中国游客的必去之地后,化妆品店大幅增加。我们店的外国人消费额从去年开始超过本国人消费额。”李某还说:“要想在梨花女子大学前做店员,必须会中文
和日文。”
 
中国游客最多的明洞也早已就成为韩国化妆品企业的激战地。公示地价在全国居前十位的土地都在明洞,而且前十位中有四处是化妆品店(自然乐园、爱丽小屋、美
体小铺、艾丝珀)。尤其是最近一年,明洞站附近的化妆品店大幅增加。2012年6月只有27家的化妆品店到今年6月增加到75家,增加了近两倍。

 
中国人为何对韩国化妆品情有独钟?乐天百货商店方面表示:“这是韩流热潮、质量和价格竞争力综合作用的结果。”在免税店遇见的中国游客李小姐说:“经常看
韩剧,韩国女演员的皮肤非常好。听说是因为使用了韩国化妆品。”和父母一起来韩国旅游的李小姐买了兰芝精华给自己用,还买了谜尚面膜礼盒用来送人。兰芝、
爱丽小屋等韩国化妆品在中国也有分店。这些品牌在韩国只是中低价品牌,但在中国属于中高价品牌,在韩国购买更划算。

乐天JTB方面对中国人青睐韩国化妆品的原因解释说:“这和中国游客群体的变化有关。”宋文杨表示:“10多年前来韩国的中国人大都是公务员和共产党干部
等人,目的主要是公干。而且80%以上是男性。普通男性从7、8年前开始来韩国旅游。家庭和女性旅游团从3、4年前开始激增。”随着中国经济迅速增长,生
活水平的不断提高,中国女性开始注重着装打扮,因为同是东方人,和韩国人的皮肤类型接近,所以对韩国化妆品的需求激增。
 

이대앞, 옷가게
중국 관광객, 상권지도를 바꾸다 지난 6월에 뒤집혀, 헤어숍은 급감

김민희 기자  

▲ 급증한 중국 관광객이 한국 화장품 매장에 몰리면서 서울의 상권지도가 바뀌고 있다. 옷가게와 미용실이 즐비했던 이대앞
거리를 화장품 매장이 점령해가고 있다. 사진은 이화여대 정문에서 신촌 방향으로 가는 거리. 에뛰드하우스, 라네즈, 더샘,
이니스프리, 네이처리퍼블릭이 한눈에 들어온다.

지난 8월 초 서울 중구 남대문로 81에 있는 롯데백화점 본점 9층
면세점. 중국 관광객으로 9층 전체가 와글와글했다. 어림잡아 고객의 80% 정도는 중국인이었다. 한 한국인 고객은
“여기가 중국이야, 한국이야?”라며 신기한 듯 두리번거렸다. 그중 중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몰린 곳은 한국 화장품
매장. 마주 보고 입점해 있는 설화수·라네즈 매장 주변은 지나가기조차 힘들 정도였다. 롯데백화점 본점 측은 급증한 중국
관광객을 위해 9층에만 두 곳에 중국어 통역사를 배치했고 각 매장의 상품 안내 문구는 중국어 위주로 바꾸었다. 일본어로
된 안내문 글씨는 깨알같이 작고 영문 설명은 아예 없다.
   
   작년 말부터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에서 근무 중인 중국어 통역사 김해연(30)씨는 “5분 간격으로 중국 관광객이 다가와 질문을 한다. 한국
화장품 매장을 찾는 질문이 가장 많다. 설화수, 라네즈, 미샤, 더페이스샵, 후를 많이 찾는다”고 말했다. 롯데백화점
잠실점은 지난해 하반기에 10층에만 있던 면세점 매장을 9·10층으로 늘리고 9층 전체를 화장품 매장 전용 면세점으로
만들었다.
   
   한국을 찾는 중국
관광객이 폭증하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 6월 한 달간 39만9031명의 중국인이 한국을
다녀갔다. 40만명이면 시흥시·구미시 등 웬만한 중소도시의 인구 규모다. 6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총
105만9082명. 한국을 다녀간 외국인 두 명 중 한 명이 중국인이었다는 얘기다. 중국 관광객의 급증은 올 들어
두드러진다. 6월 한국에 다녀간 중국인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70%가 늘었다. 일본 관광객은 33.5%가 줄었고
미국인 방문객은 6.3%, 대만 6.4%, 홍콩 19.4%가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하다. “명동과 광화문
편의점 알바는 중국어가 필수”라는 말이 공공연하다.
   
   씀씀이 큰 왕서방들은
서울의 상권지도를 바꾸고 있다. 중국인의 한국 여행 선택 시 고려사항 1위는 ‘쇼핑’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조사한
‘중국인 방한여행 실태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 여행 선택 시 고려사항은 ‘쇼핑’이라는 응답이 50.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자연풍경’(33.1%), ‘세련된 문화’(23.0%), ‘중국과의 거리’(18.0%)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큰손’ 중국인 덕에
면세점이 톡톡히 효과를 보고 있다. 올 상반기 유통업계 전반을 강타한 불황에도 면세점들은 사상 최고의 매출을 경신했다.
롯데면세점은 지난 8월 5일 잠정 집계한 상반기 매출액은 1조60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매출인 1조5000억원보다 6.67% 증가했다.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 역시 선방했다. 지난해 매출보다 각각
3.46%, 8.7% 늘었다. 면세점 성장의 주역은 중국 관광객이다. 롯데면세점의 중국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 늘었다. 엔저(低) 영향과 한·일 관계의 악화로 일본 관광객이 급감했지만 중국 관광객이 빈자리를 채워 매출이 확
늘었다는 분석이다. 롯데백화점 이석원 책임은 “중국인은 큰손이다. 1인당 매출액이 중국인이 100만원이라면 일본인은
50만원이다”라고 말했다. 내국인, 중국인, 일본인 순이었던 국적별 매출액 순위는 중국인, 내국인, 일본인 순으로
역전됐다.
   
   롯데JTB 여행사에서
중화권을 담당하는 송문양 이사는 주간조선에 “중국인은 한국 화장품을 박스째로 사 가는 경우가 많다. 혼자 쓰면 평생 써도
다 못 쓰는 양이다. 자기가 쓰기 위해서 사 가는 경우도 많지만 선물용 수요가 훨씬 더 많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화장품이 워낙 좋다고 소문이 난 데다가 여행이 개방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해외여행 다녀오면 지인들에게 선물을 돌리는
문화가 한창이다. 화장품은 부피가 작고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해 선물용으로 1순위다”라고 한국 화장품 선호 이유를
설명했다.
   
   면세점은 물론 서울
신촌의 이화여대 앞과 명동 등 쇼핑의 메카들도 화장품 매장 위주의 상권으로 변신을 하고 있다. ‘이대앞’ 하면 뭐가
떠오르는지? 미용실과 옷가게? 5~6년 전만 해도 이 대답이 통했으나 지금은 아니다. 커피점 스타벅스 1호점이
1999년에 들어서는 등 ‘테스트 마켓 1순위’인 이대앞에서 가장 많은 것은 화장품 매장이다. 작년까지만 해도 옷가게가
화장품 매장보다 많았으나 올 6월 들어 뒤집혔다. 이대앞에는 LG생활건강의 이니스프리,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움,
토리모리, 미샤 등 30개의 국내외 화장품 소매점이 밀집해 있다. 토니모리는 지척의 거리에 두 군데나 입점해 있다.
이화여대 정문 바로 앞에는 ‘더바디샵’이 들어섰고, 그 옆에는 ‘아리따움’과 ‘올리브영’이 조르르 들어섰다.
   
   이대앞에서 10년 이상
여성의류 매장 ‘내추럴런드리’를 운영하는 매니저는 이것저것 묻는 기자에게 “가게 하시게요? 옷가게는 하지 마세요.
살아남기 힘들어요”라고 말했다. 옷가게 역시 외국 관광객 일색이다. 20여분 동안 이 매장을 찾은 고객의 80% 정도는
외국인이었다. 중국인이 가장 많고 일본인과 흑인이 찾아왔다. 옷가게 점원 이모씨는 “이대앞이 중국 관광객들의 필수 코스가
되면서 화장품 매장이 급속히 늘었다”며 “우리 매장 역시 작년부터 외국인 매출이 내국인 매출을 눌렀다”고 답했다. 그는
“이대앞에서 점원을 하려면 중국어, 일본어는 기본”이라며 “이대앞과 명동의 점원은 최소 3개 국어가 기본인 프로들”이라며
자신만만하게 말했다.
   

중국 관광객이 가장 많이 몰리는 명동 역시 한국 화장품 업체의 격전지가 된 지 오래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비싼 금싸라기
땅에도 한국의 자체 화장품 브랜드 ‘네이처리퍼블릭’이 들어서 있다. 명동 밀리오레 바로 옆에 자리 잡은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 자리는 10년째 전국 최고의 공시지가 땅으로 유명하다. 스타벅스, 파스쿠치를 밀어내고 2009년에 입점한
네이처리퍼블릭은 2012년 재계약을 하면서 보증금 50억원, 월 임대료 2억5000만원 정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 상위 10위 공시지가를 기록한 땅은 모두 명동이 차지했는데 10곳 중 4곳에 화장품
매장(네이처리퍼블릭·에뛰드하우스·더바디샵·에스쁘아)이 들어서 있다.
   
   특히 최근 1년 새
명동역 부근의 화장품 매장 수가 폭증했다. 2012년 6월 기준 27개에 불과하던 화장품 매장은 올 6월 75개로 무려
3배 가까이 늘었다. 명동 예술극장 옆길은 ‘화장품 거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닐라엔코, 네이처리퍼블릭,
아리따움, 스킨푸드, 미샤, 에뛰드하우스, 더바디샵 등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가 두 집 건너 한 집씩 경쟁하듯 들어서
있다. 업종 전환을 위해 공사 중인 가게를 보면 대부분 화장품 매장이다.
   
   중국인들의 끔찍한 한국
화장품 사랑, 이유는 뭘까. 롯데백화점 홍보팀 이석원 책임은 “한류 열풍과 품질, 가격 경쟁력이 복합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면세점에서 만난 중국 관광객 리우웨이(26)씨는 “한국 드라마를 많이 보는데, 한국 여배우들은 정말 예쁘고
피부도 무척 좋다. 반짝반짝 빛이 난다. 한국 화장품을 써서 그렇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부모와 함께 여행차
한국을 찾은 그는 자신이 쓰기 위해서 라네즈 에센스를, 선물용으로 미샤 마스크팩을 박스째 사 갔다. 라네즈와 에뛰드하우스
등 한국 화장품은 중국에도 입점해 있다. 한국에서 이들 브랜드는 중저가 브랜드인 데 반해 중국에서는 중고가 브랜드로 자리
잡아 한국에서 훨씬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의류 브랜드 ‘폴로’나 ‘타미힐피거’ 등이 미국에서는 중저가
브랜드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보다 훨씬 비싼 중고가 브랜드로 백화점에 입점해 있는 상황과 유사하다.
   
   롯데JTB 송문양 이사는
중국인의 한국 화장품 사랑을 “중국 관광객층의 변화와 관계 있다”고 설명한다. 송 이사는 “10여년 전에는 한국을 찾는
중국인 대다수가 공무원과 공산당 간부 등 비즈니스가 목적이었다. 80% 이상이 남성 싱글이었다. 7~8년 전부터 일반인
남성이 관광을 목적으로 한국을 찾기 시작했고 3~4년 전부터 가족과 여성 단체 관광객이 급속히 늘었다”고 말했다. 중국의
경제성장과 함께 정신적·물질적 여유가 생긴 중국 여성들이 외모 가꾸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같은 동양인이기 때문에 피부
타입이 비슷한 한국 화장품으로 수요가 몰렸다는 것이다.
   
   ‘한국산은 품질이
좋다’는 인식의 변화도 한국 화장품 매출 신장의 한 원인이다. 송 이사의 말이다. “중국인들은 한국 제품을 명품으로
인식한다. 최근 중국 관광객과 면세점에 간 적이 있는데 ‘삼성’만 써 있으면 무조건 3개씩 달라고 하더라. 삼성
스마트폰을 쓰는 사람은 의기양양해 한다. 멋을 아는 사람, 유행의 최첨단을 걷는 사람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중국 관광객들에게 한국
관광 시 구매 필수 리스트가 있다. 쿠쿠 압력솥, 로봇청소기, 삼성 휴대폰과 디지털카메라 등이다. 인천공항에는 부피가
상당한 쿠쿠 압력솥을 사 가는 중국인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10여년 전 한국인이 일본에 가서 ‘코끼리 보온병’을
사오는 분위기와 흡사하다. 송 이사는 “초창기에는 한국 제품을 찾지 않았다. 관계가 안 좋았지만 일본의 가전제품을
선호했다. 지금은 바뀌었다. 삼성, LG 등 한국의 가전제품과 한국 화장품을 훨씬 선호한다”고 중국인의 인식 변화를
설명했다.

     

2013-08-21 13:39:06

原始网页: http://blog.sina.com.cn/s/blog_606234d90102egti.html

Report abuse

评论

您的评论
Question   Razz  Sad   Evil  Exclaim  Smile  Redface  Biggrin  Surprised  Eek   Confused   Cool  LOL   Mad   Twisted  Rolleyes   Wink  Idea  Arrow  Neutral  Cry   Mr. Green

今日头条
最新故事

Register

Newsletter

Email this story
Share This Story:
Print this story
Email this story
Digg
Reddit
StumbleUpon
Share on Tumblr
GET ALERTS:

If you really want to ban this commenter, please write down the reason:

If you really want to disable all recommended stories, click on OK button. After that, you will be redirect to your options page.